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16
10816번: 숫자 카드 2
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(1 ≤ N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-10,000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0,
www.acmicpc.net
문제
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져 있는 카드이다.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.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,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(1 ≤ N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-10,000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0,0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셋째 줄에는 M(1 ≤ M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,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. 이 수도 -10,000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0,0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출력
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M개의 수에 대해서, 각 수가 적힌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.
<문제 풀이>
bisect 모듈을 사용하여 해당 값이 몇개 있는지 찾아 출력.
from bisect import bisect_left, bisect_right
import sys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a = sorted(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)
m = int(sys.stdin.readline())
b = 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
def count_by_range(array, left_value, right_value):
right_index = bisect_right(array, right_value)
left_index = bisect_left(array, left_value)
return right_index - left_index
for i in b:
result = count_by_range(a, i, i)
print(result,end=' ')
반응형
'알고리즘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/Python] 1010번: 다리 놓기 (0) | 2023.01.06 |
---|---|
[백준 / Python] 1654번: 랜선 자르기 - jini (0) | 2022.07.11 |
[백준 / Python] 1920번: 수 찾기- jini (0) | 2022.07.10 |
[Python] 이진탐색 알고리즘 -jini (0) | 2022.07.09 |
[백준 / Python] 10814번: 나이순 정렬- jini (0) | 2022.07.08 |
댓글